나를 힘들게 하는 그 사람이 혹시?
“혹시 내 주변에도?”
일상 속 나르시시스트를 알아보는 시간
우리는 살면서 다양한 사람을 만납니다.
그중에는 처음엔 굉장히 매력적이고, 자신감 넘치고, 성공적인 모습으로 다가왔다가…
어느 순간, 내 감정은 무시당하고 내가 조종당하는 느낌이 들게 만드는 사람도 있죠.
바로 '나르시시스트(Narcissist)'
흔히 말하는 '자기애 성향이 강한 사람'입니다.
오늘은 그들이 가진 특징, 관계 속에서의 행동,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지 알아보려 합니다.
나르시시스트란 누구일까?
'나르시시스트'라는 말은 그리스 신화 속 나르키소스에서 유래됐습니다.
자신이 물에 비친 모습을 사랑하게 되어 결국 그 모습에 빠져 죽었다는 청년의 이야기에서 나온 것이죠.
심리학적으로는, 자기 자신에 대한 과도한 관심과 우월감,
그리고 타인의 감정에 대한 공감 부족을 핵심으로 하는 성향입니다.
정신의학 진단 체계에서는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라는 이름으로도 분류되지만,
그보다 가볍고 일상적인 수준의 나르시시즘은 주변에서도 흔히 관찰할 수 있어요.
이런 행동 하는 사람, 혹시 주변에서 본 적 있나요?
- 자신이 최고라는 믿음
항상 자신이 옳고, 자신보다 뛰어난 사람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타인의 조언은 무시하거나 불쾌하게 받아들입니다. - 칭찬 중독
지나치게 인정받고 싶어 하며, 칭찬이 없으면 불안해하거나 화를 냅니다.
“내가 이 정도 했는데, 왜 아무도 말이 없지?” 같은 말도 자주 하죠. - 공감 능력 부족
타인의 감정이나 상황에 대한 공감이 매우 낮습니다. 상대의 고통보다는 자신의 감정에만 집중합니다. - 관계를 도구화
인간관계를 자신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여깁니다. 이용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면 관계를 쉽게 끊거나 무시하죠. - 비판에 대한 과민 반응
아주 작은 비판에도 과하게 방어적이거나 분노를 표출합니다.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거나, 상대를 악의적으로 공격하기도 합니다.
그들과의 관계에서 흔히 겪는 감정들
- “내가 뭐라고 했길래 저렇게 화를 내지?”
- “처음엔 다정했는데, 이젠 내가 잘못된 사람처럼 느껴져.”
- “계속 나만 맞춰주고 있는 것 같아…”
이런 감정을 느꼈다면, 나르시시스트와의 정서적 조작(emotional manipulation)을 경험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들은 관계 초반엔 매력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당신을 빠져들게 만들지만, 점차 통제와 착취의 방식으로 바뀝니다.
이런 관계는 시간이 지날수록 자신감을 잃고, 정서적으로 지쳐가게 만듭니다.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
1. 감정에 이름 붙이기
먼저, 내가 느끼는 불편한 감정에 스스로 납득할 수 있는 이름을 붙여보세요.
“이건 불공평해.” “나는 지금 무시당했어.”
자신의 감정을 부정하지 않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2. 감정적 거리를 두기
가능하다면, 물리적 또는 정서적 거리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상대의 말이나 행동에 지나치게 휘둘리지 않도록 나만의 방어선을 마련하세요.
3. 경계 설정
NO라고 말하는 것을 연습해야 합니다.
당신의 시간을, 에너지를, 감정을 마음대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세요.
처음엔 어려울 수 있지만, 관계의 균형을 되찾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제3자의 시선 활용
혼자서 판단하기 어려울 때는 친구, 전문가, 커뮤니티의 도움을 받는 것도 방법입니다.
타인의 시선은 왜곡된 관계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우리는 모두 어느 정도 자기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타인을 해치고 조종하려는 형태로 변할 때, 관계는 건강하지 않게 됩니다.
혹시 지금, 어떤 관계 속에서 내가 끊임없이 소모되고 있다면,
잠시 멈춰서 나의 감정을 돌아보고, 그 관계를 다시 정의해보세요.
그리고 가장 중요 한것 하나
진짜 나를 좋아하고 사랑하는 사람은
내가 힘들어하는 부탁이나 요구를 하지 않습니다.
나라면 하지않을 말, 나라면 하지 못할 요구를 하는 사람은
그저 당신을 이용하는 사람,
그래도 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일 수 있습니다.
어떤 인간관계에서든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사람은
바로 당신입니다.